2025년이 되어 많은 직장인들이 얼마나 연봉이 인상이 되었는지 그리고 실수령액은 얼마인지에 대해 궁금해 할 것입. 2025년에는 최저시급이 10,000원을 넘어서면서 전반적인 급여 상승이 기대되됩니다. 그러나 실질적으로 손에 쥐는 월급은 예상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. 연봉과 실수령액의 차이, 2025년 연봉 실수령액표에 따른 내 실수령액 어떻게 되는지, 그리고 세후 월급을 조금이라도 늘릴 수 있는 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.
1. 2025 연봉 실수령액표
우선 세전 연봉이 3,000 ~ 4,900만원 구간입니다. 연봉이 3천만원이면 실수령액은 220여만원 정도 받습니다. 연봉이 4천만원이면 실수령액은 291만원 정도입니다.
다음은 세전 연봉이 5,000 ~ 6,900만원 구간입니다. 연봉이 5,000만원이면 실수령액은 355만원 정도입니다. 그리고 연봉이 6천만원이면 실수령액은 418만원 정도입니다.
다음은 세전 연봉 7,000 ~ 8,900만원 구간입니다. 많은 직장인들의 희망 연봉 구간이 아닐까 합니다. 세전 연봉이 7,000만원이면 실수령액은 478만원, 8천만원이면 실수령액은 531만원 정도입니다.
다음은 세전 연봉이 9,000만원 ~ 10,900만원 구간입니다. 세전 연봉이 9,000만원이면 실수령액은 586만원, 연봉이 1억원이면 642만원입니다. 이 이후 구간의 실수령액 구간을 알고 싶으시면 아래 바로가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2. 공제내역 확인
2025 연봉 실수령액표에서 먼저 표시되는 연봉은 "세전 연봉"입니다. 그러나 내가 받는 내 실수령액은 여러 가지 세금 및 공제 항목을 제외합니다. 그렇다면 2025 연봉 실수령액표에서 어떠한 항목이 공제되며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?
(1) 4대 보험
*국민연금
- 월급에서 4.5%가 공제됩니다.
- 예시) 월급 : 300만원, 13만 5천 원이 국민연금으로 공제.
*건강보험
- 월급에서 3.545%가 공제됩니다.
- 예시) 워급 : 300만원, 약 10만 6천 원 납부.
*장기요양보험
- 건강보험료의 12.95% 추가 납부.
- 예시) 건강보험료 : 10만 6천원. 이 경우 장기요양보험료는 약 1만 3천 원.
*고용보험
- 월급의 0.9%가 공제됩니다.
- 예시) 월급 : 300만원. 이 경우 약 2만 7천 원 납부.
- 실직 시 실업급여를 받기위해 납부하는 금액
(2)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
연봉이 높아질수록 소득세 부담도 커집니다. 소득세율은 구간별로 다르게 적용되며, 소득세의 10%를 지방소득세로 추가 납부해야 합니다.
소득세 과세표준 | 세율 | 누진공제 |
---|---|---|
1,400만 원 이하 | 6% | 0원 |
1,400만 원 초과 ~ 5,000만 원 이하 | 15% | 1,260,000원 |
5,000만 원 초과 ~ 8,800만 원 이하 | 24% | 5,760,000원 |
8,800만 원 초과 ~ 1억 5천만 원 이하 | 35% | 15,440,000원 |
1억 5천만 원 초과 ~ 3억 원 이하 | 38% | 19,940,000원 |
3억 원 초과 ~ 5억 원 이하 | 40% | 25,940,000원 |
5억 원 초과 ~ 10억 원 이하 | 42% | 35,940,000원 |
10억 원 초과 | 45% | 65,940,000원 |
3. 세후 월급을 늘리는 방법
2025 연봉 실수령액표에서 내 실수령액을 조금이라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? 우선 연말정산을 활용하는 전략이 있습니다.
(1) 연말정산 활용
-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중 : 체크카드 공제율이 더 높기에 (30%) 가급적 체크카드를 활용할 것.
- 의료비, 교육비, 기부금 등 연말정산 공제항목 챙기기
- 퇴직연금(IRP), 연금저축을 활용하여 세액공제 금액을 늘리기.
연말정산 연금저축 세액공제 한도. 받는 법. 총정리
연말정산 시 연금저축으로 최대 148만 원, 최소 118만 원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 이러한 큰 혜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금저축 가입률이 아주 높지는 않은데요. 연금저축을 가입하지 않
naebyul79.tistory.com
ISA IRP 차이 및 장점 비교하기
노후에 대한 불안감으로 연금 저축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습니다. 연금 저축은 세제 혜택이 높은 것이 큰 장점입니다. 크게는 연금저축펀드, IRP가 있으며 이와 연계하여 ISA 계좌가 있습니다
naebyul79.tistory.com
ISA 계좌 연말정산. 환급금 늘리는 법 소개.
ISA 계좌로 연말정산이 가능한 방법이 있습니다. 물론 일반적으로 ISA 계좌로는 연말정산이 쉽지 않습니다. 보통 연금저축과 IRP 계좌로 연말정산 환급을 받기 마련입니다.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
naebyul79.tistory.com
(2) 회사 복리후생 활용 방법
- 식대, 자녀학자금, 교통비 등 비과세 항목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
- 야간/휴일 근로수당은 일정 한도까지 비과세 적용 가능
(3) 연봉 협상 및 이직
- 자격증 취득 및 업무 스킬 향상으로 연봉 협상 유리하게 만들기
- 더 나은 연봉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이직 고려
ㄱ
결론
2025년 연봉 실수령액표에서 내 실수령액 보면 기대했던 것보다 적어 실망할 수 있습니다. 그러나 연말정산, 비과세 혜택, 연봉 협상 등을 적극 활용하여 그 실망감을 조금이라도 개선할 수 있습니다.
연봉을 관리하는 것도 중요한 재테크의 시작입니다. 2025 연봉 실수령액표를 꼼꼼히 따져보고 알뜰하게 계획해보세요!
'다양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 한국국제베이커리페어. 일정, 티켓 예매, 주차 정보 총정리! (1) | 2025.03.08 |
---|---|
농협 체크카드 재발급. 준비물. 신청 방법 총정리 (1) | 2025.02.26 |
기아 타이거즈 시즌권. 가격. 할인 혜택 총정리 (1) | 2025.02.25 |
CU 반값택배. 조회. 가격. 이용방법 총정리. (2) | 2025.02.24 |
그록3. 다운로드 및 사용방법 (2) | 2025.02.23 |